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용어30

기축통화와 금본위제도 금이 화폐로써 사용된 과거는 1252년 이탈리아 피렌체에서 주조돼 한 때 유럽의 기축통화 역할을 했던 플로린 (Florin) 화폐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후 1816년 영국이 금본위제도를 채택하면서 금은 화폐 역사의 전면에 등장하게 되었고, 1944년 달러를 중심으로 한 금환본위제가 성립되었습니다. 현재의 기축통화는 누가 뭐래도 달러라고 할 수 있습니다. [ 글의 순서 ] 1. 기축통화 (Key currency) 2. 금본위제도 (Gold standard) 3. 같이 보면 좋은 글 기축통화 (Key currency) 기축통화 (Key currency)란 국제 간의 결재나 금융 거래의 기본이 되는 화폐를 의미합니다. 예전에는 영국의 파운드가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미국의 달러와 유럽의 유로, 영국의 파운드 및 .. 2021. 5. 15.
그린 뉴딜 (Green new deal) 한국판 그린 뉴딜 정책이란? 최근 국제 사회의 새로운 이슈로 급부상한 하나의 정책은 사람과 환경을 중심으로 한 지속 가능한 발전을 뜻하는 그린 뉴딜 정책 (Green new deal policy)입니다. 그린 뉴딜 정책은 신재생 에너지로 전환하여 저탄소 경제구조로의 진화에 투자하고 이를 장려하는 정책을 말합니다. [ 글의 순서 ] 1. 그린 뉴딜 정책 (Green new deal policy) 2. 그린 뉴딜 정책의 장점 3. 한국판 그린 뉴딜 정책 4. 같이 보면 좋은 글 그린 뉴딜 정책 (Green new deal policy) 그린 뉴딜 정책이란, 미국의 대공황 시기 루즈벨트 정부의 경기부양책 '뉴딜 (New Deal)'과 환경을 의미하는 '그린(Green)'의 합쳐 만든 단어로, 녹색산업에 대한 지원을 통하여 시장 및 일자리.. 2021. 5. 12.
뉴딜 정책 (New deal policy) 제1차 세계대전과 대공황 1931년 미국의 경제는 대공황으로 휘청 되고 있었습니다. 대형 은행은 문을 닫고, 실업자는 계속해서 늘어 실업률이 지역별로 50%, 심지어 약 80%까지 치솟게 되었습니다. 실직자가 무려 약 1,300만 명으로 집계되었고, 이는 당시 미국 국민 4명 중 1명에 해당하는 놀라운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1933년 루즈벨트가 미국의 대통령이 되어 대공황으로 무너진 미국의 경제를 되살리기 위해 여러 가지 경제정책을 펼치기 시작합니다. 오늘은 미국의 뉴딜 (New Deal) 정책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글의 순서 ] 1. 제1차 세계대전 - 미국의 발전 2. 대공황 - 공급과잉, 대량실업과 소비위축 3. 뉴딜 정책 (New deal policy) 4. 같이 보면 좋은 글 제1차 세.. 2021. 5. 11.
슬리포노믹스 (Sleeponomics) 숙면의 중요성 거의 모든 사람은 인생의 약 1/3 정도 잠을 자면서 보내게 됩니다. 잠은 피로 해소를 돕고 에너지를 충전시켜 주기 때문에 우리가 살아갈 수 있는데 필요합니다. 만약 수면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다고 한다면 신체 건강을 물론이거니와 정신적으로 매우 힘들어질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처럼 현대인에게 숙면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등장하게 된 개념인 슬리포노믹스 (Sleeponomics)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글의 순서 ] 1. 슬리포노믹스 (Sleeponomics) 2. 세계 각국의 수면 시간 3. 슬리포노믹스 미래 4. 같이 보면 좋은 글 슬리포노믹스 (Sleeponomics) 슬리포노믹스 (Sleeponomics)란, 수면을 뜻하는 'Sleep'과 경제학을 뜻하는 'Economics'가 합쳐진 .. 2021. 5.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