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제용어30 홈코노미 (Homeconomy) 코로나로 인한 비자발적 트렌드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하여 여행도 못 가고, 헬스장도 못 가고, 수영장도 못 가고, 영화관도 못 가고, 술집에도 못 가는 현실, 못하는 것이 너무도 많아지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원하지는 않았지만 어쩔 수 없이 집안에서 이루어지는 각종 경제활동이 많아질 수밖에 없는 없게 되었고 이렇게 집안에서 소비하는 상품과 서비스를 모두 아우르는 용어를 바로 홈코노미 (Homeconomy)라고 합니다. [ 글의 순서 ] 1. 홈코노미 (Homeconomy) 2. 홈코노미 발생 배경 3. 홈코노미 제품 4. 같이 보면 좋은 글 홈코노미 (Homeconomy) 홈코노미 (Homeconomy)란 Home (집)과 Economy (경제)의 합성어로 집안에서 이루어지는 각종 경제활동을 칭하는 경제 신조어입니다. 배달, 출장.. 2021. 5. 8. 헬리콥터 머니 그리고 양적완화 정책 (QE) 금리 인하를 통한 경기 부양 효과가 한계에 봉착하였을 때, 중앙은행이 국고채 및 환매조건부 채권 등의 매입을 통하여 유동성을 시중에 직접 공급함으로써 신용경색을 해소하고 경기를 다시 부양시키는 통화정책을 바로 양적완화 (QE, Quantitative Easing)이라고 합니다. [ 글의 순서 ] 1. 양적완화 (Quantitative Easing) 2. 양적완화를 하는 이유 3. 일본의 양적완화 4. 한국의 양적완화 5. 같이 보면 좋은 글 양적완화 (Quantitative Easing) 양적완화라는 용어는 과거 발생하였던 금융위기마다 등장했던 용어로 금융시장의 신용경색 해소와 경기 부양을 위해 정부의 국채나 여타 다양한 금융 자산의 매입을 통해 시장에 직접 유동성을 공급하는 정책을 말합니다. 양적완화 .. 2021. 5. 7. 단기금리가 사실상 0%인 제로금리 시대 콜시장에 대량의 자금을 공급하여 콜금리를 거의 제로에 가깝도록 유도하는 금융 정책 그리고 단기금리를 사실상 0%에 가깝게 만드는 정책을 제로금리 정책이라고 합니다. 제로금리란, 이러한 제로금리 정책 하 사실상 0%에 가까운 금리를 말하고 이러한 정책이 자리 잡아 사실상 금리가 없는 시대를 바로 제로금리 시대라고 합니다. [ 글의 순서 ] 1. 제로금리 2. 한국은행 기준금리 변화 3. 일본 제로금리 정책 4. 제로금리 시대의 투자 5. 같이 보면 좋은 글 제로금리 한국은행이 금리를 인하함에 따라, 국내 기준금리는 0.50%(2020년 7월 15일 금리 동결 결정)로 1% 초반대의 물가 상승률을 고려하면 실질 금리는 마이너스 수준에 달한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제로금리란, 단기금리를 사실상 0%에 가깝게 .. 2021. 5. 6. Z세대 그리고 디지털 네이티브와 포노 사피엔스 1990년대에서 2000년대 초반에 출생하여 태어났을 때부터 컴퓨터와 핸드폰 등과 매우 친밀하여 디지털 네이티브 (Digital Native)라고 불리며, 스마트폰과 태생적으로 매우 가까울 수밖에 없어 포노 사피엔스 (Phono Sapience)로 대변되는 세대를 바로 Z세대 (Generation Z)라고 합니다. [ 글의 순서 ] 1. Z세대 (Generation Z) 2. 세대별 구분 및 특징 3. Z세대 특징 4. 같이 보면 좋은 글 Z세대 (Generation Z) 1990년대 중반에서 2000년대 중반까지 출생한 젊은 세대를 이른 말로 아날로그와 디지털이 혼재한 환경에서 자란 밀레니얼 세대가 아닌 어린 시절부터 스마트폰과 인터넷 등의 디지털 환경에 노출된 세대를 말합니다. 과거 어느 세대와도 비.. 2021. 5. 5. 이전 1 2 3 4 5 ··· 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