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용어30

패닉바잉 (Panic buying) 미래에 대한 불안감으로 인한 구매 예측 불가능하고 좋지 않은 미래에 대한 불안감으로 인하여 가격에 상관없이 무언가를 과다하게 구매하는 패닉적인 매매의 현상을 일컫는 용어를 패닉바잉 (Panic buying)이라고 합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계속되는 집값, 특히 아파트 가격의 상승으로 인하여 30대는 물론이거니와 20대까지도 너도, 나도 부동산을 매수하려는 움직임이 커지면서 다시 재조명되는 용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글의 순서 ] 1. 패닉바잉 (Panic buying) 2. 패닉바잉 사례 3. 패닉바잉과 영끌 4. 같이 보면 좋은 글 패닉바잉 (Panic buying) "집 못 살까 불안하다, 20대까지 번진 패닉바잉" "패닉바잉 중저가 아파트로 쏠린다, 노도강 9억 키 맞춤" "지금 아니면 못산다, 지금 안 사면 내 집은 없다" .. 2021. 4. 28.
한 곳을 제지하면 다른 곳으로 이동하는 풍선효과 (Ballon effect) 풍선의 특징은 한 곳을 누르면 다른 곳이 튀어나온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풍선처럼 한 곳을 제지하면 다른 곳으로 이동하여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는 의미의 용어를 풍선효과 (Ballon effect)라고 합니다. [ 글의 순서 ] 1. 풍선효과 (Ballon effect) 2. 풍선효과 유래 3. 경제에서의 풍선효과 4. 같이 보면 좋은 글 풍선효과 (Ballon effect) 풍선은 한곳을 힘을 주어 누르게 되면 누르는 곳은 들어가게 되고, 풍선을 누르고 있는 곳을 제외한 어디 한 부분은 반드시 팽창되는 특성이 있습니다. 이처럼 한 곳을 누르면 다른 곳이 불거져 나오는 모습을 비유하며 하나의 문제가 해결되면, 또 다른 문제가 생겨나는 현상을 풍선효과 (Ballon effect)라고 합니다. 풍선효과 (Bal.. 2021. 4. 27.
분수효과와 낙수효과를 통한 경제 부양 경제의 부양, 활성화가 이루어지는 방향에 대한 상반된 용어가 존재합니다. 저소득층의 소득 증가가 경제의 활성화를 가져온다는 분수효과 (Trickle-up effect)와 이와는 반대로 고소득층의 소득 증가가 경제의 활성화를 가져온다는 낙수효과 (Trickle-down effect)가 있습니다. [ 글의 순서 ] 1. 분수효과 (Trickle up effect) 2. 낙수효과 (Trickle down effect) 3. 같이 보면 좋은 글 분수효과 (Trickle up effect) 분수효과 (Trickle-up effect)란, 저소득층의 소득의 증가로 경제 활성화가 이루어지는 현상을 말하는 용어입니다. 아래에서 위로 뿜어지는 분수의 형태의 분수 형상에 비유하여 저소득층에 대한 투자가 전체 경제에 긍정적.. 2021. 4. 24.
열혼까지 끌어 모아 투자하는 영끌 그리고 2030와 3040 세대 각종 규제에도 상승하는 부동산 가격과 상승하는 주식에 가담하지 않으면 상대적으로 뒤로 밀려나며 손해 보는 것 같은 느낌이 들어 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대출을 받아 '영끌 대출', '영끌 투자' 하는 2030, 3040세대들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 글의 순서 ] 1. 영끌 2. 부동산 시장에서의 영끌 3. 주식 시장에서의 영끌 4. 같이 보면 좋은 글 영끌 '영끌'이란, '영혼까지 끌어모으다'의 '영'과 '끌'의 줄임말로 경제 관련 신조어입니다. 영끌이라는 단어는 주로 급여를 계산할 때 각종 수당까지 모두 끌어모아 계산한다는 말로 많이 쓰이며, 아주 작고 사소한 것들을 마지막까지 하나로 모으는 행위를 표현하는 단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영끌 ''영혼까지 끌어모으다'의 줄임말로 작고 사소한 것들.. 2021. 4. 22.
반응형